광성보(廣城堡)
광성포대를 지나 조금 지나면 용두돈대가 나타난다. 쌓여진 성벽사이로 강화 앞바다가 보인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8_2_18_2_blog101045_attach_0_16.jpg?original)
용두돈대(龍頭墩臺)
그러나 처음 바닷물이 이동하는 속도를 보니 강물이 흐르는 것으로 착각이 든다.
자세한 내용은 아래 안내문 참조한다.
아래는 용두돈대 안내문을 옮겨놓은 것이다.
용두돈대(龍頭墩臺)
소재지 :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이 돈대는 강화해협(江華海峽)을 지키던 천연 요새(要塞)로서 조선 숙종(朝鮮 肅宗) 5년(1679)에 축조되었다. 병인(丙寅). 신미양요(辛未洋擾) 때 치열한 포격전(砲擊戰)이 벌어졌던 현장이다. 1977년 성벽(城璧)을 복원하면서 강화 전적지(江華 戰蹟地) 정화기념비를 세웠다. 비의 전면(前面)의 글씨는 박정희 전대통령(朴正熙 前大統領)의 친필이며 후면의 비문은 이은상(李殷相)이 짓고 글씨는 김충현(金忠顯)이 썼다. |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3/8_2_18_2_blog101045_attach_0_2.jpg?original)
용두돈대 안내문
성벽을 지나면서 몇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밖을 볼 수 있는 구멍이 나있는데 하나는 정면을 향하고, 하나는 아래를 향하여 구멍이 나왔다. 아마 이 구멍을 통해 적을 관찰하거나 총이나 화살을 쏘지 않았을까?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3/5_2_18_2_blog101045_attach_0_14.jpg?original)
정면을 관측할 수 있는 형태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5_2_18_2_blog101045_attach_0_8.jpg?original)
성벽 아래를 관측할 수 있는 형태
성벽위에서 보는 해안가이다. 이곳에서 수많은 전투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3/5_2_18_2_blog101045_attach_0_15.jpg?original)
용두돈대에서 바라본 해안가
'강화전적지정화기념비'로 성벽을 따라 가면 끝에 볼 수 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5_2_18_2_blog101045_attach_0_10.jpg?original)
강화전적지정화기념비
'강화전적지정화기념비' 옆에 있는 '홍이포' 전시물이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5_2_18_2_blog101045_attach_0_9.jpg?original)
강화전적지정화기념비 옆에 있는 홍이포 전시물
광성보 입구로 돌아오는 길목에서 찍은 사진이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2/5_2_18_2_blog101045_attach_0_11.jpg?original)
돌아오는 길
돌아오는 길에서 보는 광성보 입구 사진이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3/5_2_18_2_blog101045_attach_0_16.jpg?original)
광성보
'문화재 > 강화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등사(傳燈寺) 2/2 (0) | 2007.12.01 |
---|---|
전등사(傳燈寺) 1/2 (0) | 2007.12.01 |
광성보(廣城堡) 3/3 (0) | 2007.11.20 |
광성보(廣城堡) 1/3 (0) | 2007.11.13 |
강화도 초지진(草芝鎭) (0) | 2007.11.06 |